
특별과정
대중음악 가창 및 작사,작ㆍ편곡과정
교육과정 개요
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.
강좌명 | 대중음악 가창 및 작사,작ㆍ편곡과정 |
---|---|
교육목표 | 20대 후반에서 30대 청년 중, 가수 및 가요 창작에 관심이 있거나 음악작업을 전문적으로 하고 싶은 인원, 그리고 현업종사자 또는 현업에서 은퇴한 중, 장년층에서 노래나 창작에 관심이 있거나 작업을 전문적으로 하고 싶은 이들에게 가창 및 창작의 기회를 부여한다. |
교육내용 |
|
교육기간 및 수강료
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.
개강일 | 2022년 03월 |
---|---|
수업시간 | 매주 일요일 11시 ~ 14시(상시 변동) |
수강료 | 160만원 |
교육과정 운영 세부사항
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.
학기당 강의주수 | 1회당 강의시간 |
---|---|
16주 | 3시간 |
기타 필요사항
-
안익태 기념관
- 1) B103 미디작업실 - 편곡 강의 시 사용
- 2) 220-1 녹음실 - 녹음 수업 시 사용
- 3) 개인 연습실 - 일요일 상시 사용
- 4) 310호, 312호, 405호, 교실 - 이론 강의 시 사용
* 건별 비용 추가 필요(작사,곡 및 편곡 의뢰) - 학생 부담분
강사소개
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.
성명 | 소속/직위 | 학력 및 주요경력사항 |
---|---|---|
이태선 | 글로벌미래교육원 |
|
김정욱 | 글로벌미래교육원 |
|
유영건 | 글로벌미래교육원 |
|
접수기간 및 방법
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.
접수기간 | 교육과정 문의 | 접수방법 |
---|---|---|
2021.06.05 ~ 2022.03 | 02-828-7312,7334 | 온라인 접수페이지 |
유의사항
- 과정 신청서 제출 및 금전등록까지 마무리되어야 정상 등록으로 인정됨
- 과정 정원에 따라 선착순 마감
- 과정별 적정인원 미달 시 폐강될 수 있으며 개강 1주일 전 개설여부 최종 확정
- 시간당 강사료 : 전공별 강사료: 50,000 / 개인레슨 강사료: 35,000
강의계획서
좌우로 스크롤 하시면 표의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.
1교시 | 2교시 | 3교시 | 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회차 | 전공 | 주제 | 강의내용 | 강사 | 주제 | 강의내용 | 강사 | 주제 | 강의내용 | 강사 |
1 | 보컬 | 음악이론1 | 16주간 진행할 수업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음악 창작의 기본 이론 및 대중 문화의 특성에대하여 설명한다. (오리엔테이션) | 유영건 김정욱 이태선 <안익태 기념관 312호> |
기본 발성하기 |
기본적 발성에 대하여 이론정리를 하고 발성을 해본다. |
김정욱 <310호> |
개인 취향에 대한 설문조사 |
16주차에 제작할 콘텐츠에 대하여 진행 내용을 설명하고 설문조사를 한다. | 김정욱 <310호> |
작사 | 노랫말의 기능1 |
좋은 노랫말을 짓기 위해서는 어떤 사전 준비가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본다. | 유영건 <312호> |
노랫말의 기능2 |
노랫말의 대중성과 긍정적인 기능에 대하여 연구해 본다. | 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작곡법이란 | 형식, 화성, 선율, 리듬, 악기, 스타일 등 작곡 시 고려하는 수많은 요소를 검토해 본다. | 이태선 <405호> |
컴퓨터 음악의 이해 |
하나의 곡이 음반으로 출시되어 대중에게 소비되기까지 필요한 전반적인 음악 제작의 체계를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컴퓨터 음악의 위치와 기능을 살펴본다. | 이태선 <405호> |
||||
2 | 보컬 | 음악이론2 | 음정 및 음계에 대하여 기본적인 이론을 설명하고 이해하도록 한다. | 김정욱 <안익태 기념관 312호> |
기본 발성하기2 |
메이져 음계와 마이너 음계를 시창해 본다. |
김정욱 <310호> |
개인 제작 콘텐츠에 대한 정리 및 결정 |
개별 면담을 통해 개인 선호의 곡과 개인 스타일에 대한 매치 정도를 파악하고 결정한다. 6주차에 데모곡을 확인하도록 한다. | 김정욱 <310호> |
작사 | 노랫말의 영향력 |
현실과 대중의 심리를 반영하는 노랫말을 써본다. |
유영건 <312호> |
노랫말의 대중성향 |
노랫말이 음악적 재료와 결합하여 의미를 상승시키는 동력에 대해 연구한다. | 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작곡을 위한 리듬 연구 1 |
가사를 부각시키고 곡에 의외성을 시사하고 대조적 송섹션과 클라이막스를 창출하거나 더욱 흥미로운 멜로디를 연출하기 위해 리듬을 이용하는 방법을 학습한다. | 이태선 <405호> |
미디의 기초 이론 |
미디 장비를 활용한 홈스튜디오 구축에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이해한다 | 이태선 |
||||
3 | 보컬 | 음악이론3 | 3화음 및 7th코드에 대하여 이해하고 소리를 청음해 본다. | 김정욱 <312호> |
'천상재회' 불러보기 1 |
김정욱교수 작곡 최진희 노래 '천상재회'를 완창하고 감정 표현 및 발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숙지한다. 개인별 포인트 레슨을 한다. | 김정욱 <310호> |
'천상재회' 불러보기 2 |
김정욱교수 작곡 최진희 노래 '천상재회'를 완창하고 감정 표현 및 발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숙지한다. 개인별 포인트 레슨을 한다. | 김정욱 <310호> |
작사 | 한국인의 정서와 노랫말 |
오래된 노래들의 가사 의미에 대해 토론하고 내용을 요약해 본다. | 유영건 <312호> |
서정적 노랫말의 중요성 |
팝송 및 가요를 포함하여 서정적인 가사를 찾고 그 의미를 찾아본다. | 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작곡을 위한 리듬 연구 2 |
아이디어를 전개시켜 송 섹션을 구축하기 위한 간단한 툴에 관하여 학습한다. 실제로 송 섹션을 구축해 본다. | 이태선 |
Cubase Pro Overview (1) |
미디/오디오 인터페이스 설정, 메인윈도우 인터페이스 탐색, 작업화면 탐색 및 확대/축소, 자르기, 붙이기와 같은 도구모음툴을 실습해본다. | 이태선 |
||||
4 | 보컬 | 음악이론4 | 다이어토닉코드 프로그레션에 대하여 이해하고 대중적인 코드 진행에 대하여 청음해 본다. | 김정욱 <312호> |
'사랑이 저만치 가네' 불러보기 1 |
김정욱교수 작곡 '사랑이 저만치 가네' 를 완창하고 감정 표현 및 발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숙지한다. 개인별 포인트 레슨을 한다. | 김정욱 <310호> |
'사랑이 저만치 가네' 불러보기 2 |
김정욱교수 작곡 '사랑이 저만치 가네' 를 완창하고 감정 표현 및 발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숙지한다. 개인별 포인트 레슨을 한다. | 김정욱 <310호> |
작사 | 노랫말의 기능 | 발라드 곡의 역사에 대하여 고찰하고 마음을 움직이는 정감의 세계를 연구한다. | 유영건 <312호> |
노랫말의 역할 | 서정적인 정감의 세계를 분석해보고 악곡과의 결합으로 고양되는 의미에 대해 수업한다. | 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리듬을 활용한 송 섹션의 구축 |
아이디어를 전개시켜 송 섹션을 구축하기 위한 간단한 툴에 관하여 학습한다. 실제로 송 섹션을 구축해 본다. | 이태선 |
Cubase Pro Overview (2) |
단축키 설정 및 간단한 미디 시퀀싱 실습을 해본다. | 이태선 |
||||
5 | 보컬 | 음악이론5 | 기본 리듬 중 온음표에서 8분음표까지의 악보를 보고 읽는 연습을 한다. | 김정욱 <312호> |
'바람의 노래' 불러보기 1 |
김정욱교수 작곡 '바람의 노래' 를 완창하고 감정 표현 및 발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숙지한다. 개인별 포인트 레슨을 한다. | 김정욱 <310호> |
'바람의 노래' 불러보기2 |
김정욱교수 작곡 '바람의 노래' 를 완창하고 감정 표현 및 발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숙지한다. 개인별 포인트 레슨을 한다. | 김정욱 <310호> |
작사 | 발라드 작사가 | 사랑을 주제로 한 가사를 작사한 작가에 대하여 고찰해본다. (예) 양인자, 박건호, 이영훈 등. |
유영건 <312호> |
발라드의 영향력 |
작품을 중심으로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감성에 대해 연구한다. | 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모방 방법을 이용한 발전 |
모티브를 반복하되 여러가지 변화를 동반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 | 이태선 |
음표 입력 기초 | 미디 건반을 이용해 실시간 미디레코딩 하는 방법을 배운다. 미디 노트의 3가지 요소 (Velocity, Duration, Start time)를 이해한다. | 이태선 |
||||
6 | 보컬 | 음악이론6 | 기본 중 16분음표의 악보를 보고 읽는 연습을 한다. | 이태선 <312호> |
시창 연습 1 | 2도 3도 도약 관계의 음계를 시창해 본다. | 이태선 <310호> |
개인별 곡 확인 | 주차에 의뢰했던 곡을 확인해보고 작곡가와 같이 개인별로 본인의 스타일과 맞는지 확인한다. | 이태선 <310호> |
작사 | 발라드의 한국 토착화 |
우리나라 가요의 주제의 편향화에 대하여 토론하고 연구한다. | 유영건 <312호> |
발라드의 보편적 주제 |
발라드 가요노랫말의 성격과 악곡과의 관련성에 대해 연구 및 토론 | 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작곡을 위한 리듬 연구 3 |
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통하여 송 섹션을 직접 전개해 본다. | 김정욱 |
드럼과 베이스 입력 |
악곡의 그루브(Groove)를 형성하는 드럼과 베이스의 사실적인 시퀀싱을 공부한다. | 김정욱 |
||||
7 | 보컬 | 음악이론7 | 저작권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. | 유영건 <312호> |
시창 연습 2 | 4도 5도 도약 관계의 음계를 시창해 본다. | 이태선 <310호> |
개인별 레슨 1 | 작곡가 또는 보컬 레슨 선생과 신곡을 1:1 레슨으로 진행한다. | 이태선 <310호> |
작사 | 대중음악 가사의 대중성 |
대중성의 전략과 방법에 대해 토론한다. |
유영건 <312호> |
대중음악 가사의 통속성 |
통속성이 드러나는 방식에 대해 연구한다. |
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리듬을 활용한 송 섹션의 전개 |
두 개의 서로 다른 모티브에 의해서 전개됨으로써 더욱 다양화가 되는데 실습을 통하여 그 효과를 확실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. | 김정욱 |
피아노 시퀀싱 (Sequencing for Piano) |
피아노 보이싱을 연구하고 사실적인 피아노 사운드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미디 데이터의 종류와 입력법 및 편집을 익힌다. | 김정욱 |
||||
8 | 보컬 | 음악이론8 | 코드 진행 중, 종지에 대해 공부하고 종지의 응용의 예를 코드 청음해 본다. | 이태선 <312호> |
시창 연습 3 | 6도 7도 도약 관계의 음계를 시창해 본다. | 이태선 <310호> |
개인별 레슨 2 | 작곡가 또는 보컬 레슨 선생과 신곡을 1:1 레슨으로 진행한다. | 1:1 개별 레슨 진행 <레슨실> |
작사 | 대중음악 가사의 상투성 |
상투적 표현이 지나칠때 나타나는 통속성에 대하여 실례를 통하여 살펴본다. | 유영건 <312호> |
대중음악 가사의 추억과 기억의 방식 | 감정이 구체성을 가질때 얻을 수 있는 이미지의 형상화 효과에 대해 알아본다. | 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코드 위에서의멜로디 전개 1 | 리듬 툴의 사용법을 충분히 이해한 뒤에 동일한 코드위에 멜로디를 만들어 본다. | 김정욱 |
피아노 사운드의 특징 표현하기 | 주어진 피아노 악보를 보고 노트를 입력한 뒤 Grace Note의 Velocity는 약하게, Top Note의 Velocity는 강하게 하여 실제 세션 연주자가 연주하는 듯한 사운드를 연출하는 실습을 한다. | 김정욱 |
||||
9 | 보컬 | 음악이론9 | 2차적 부속 7화음( Secondary Dom.7th)의 개념에 대하여 이해하고 그 울림의 변화와 진행에 대하여 코드 청음해본다. | 이태선 <312호> |
시창 연습 4 | 16분음표와 당김음의 시창을 해본다. | 이태선 <310호> |
개인별 레슨 3 | 작곡가 또는 보컬 레슨 선생과 신곡을 1:1 레슨으로 진행한다. | 1:1 개별 레슨 진행 <레슨실> |
작사 | 서정성의 중요성 |
현재 불리고 있는 서정성 짙은 노래들을 통해 공통적 주제를 확인해 본다. | 유영건 <312호> |
인간의 보편적 정서 | 인간의 삶에 중요한 의미로 작용하는 보편적 정서에 대해 연구한다. | 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동일한 코드 위에서의 멜로디 만들기 | 가장 간단한 멜로디인 코드 톤으로 구성된 것부터 만들어 본다. | 김정욱 |
오디오 녹음하기 |
오디오 트랙에 녹음하는 방법을 알아본다. |
김정욱 |
||||
10 | 보컬 | 음악이론10 | 2차적 부속 7화음( Secondary Dom.7th)을 이용한 패턴 코드 진행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 울림을 코드 청음해 본다. | 이태선 <312호> |
시창 연습 5 | 부점이 있는 악보를 시창하여 박자의 정확성을 살릴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. | 이태선 <310호> |
개인별 레슨 4 | 작곡가 또는 보컬 레슨 선생과 신곡을 1:1 레슨으로 진행한다. | 1:1 개별 레슨 진행 <레슨실> |
작사 | 노랫말의 재료 | 노랫말이 주제와 재료의 선택에 대해 논의한다. |
유영건 <312호> |
대중가요의 노랫말의 문제점 | 감각에 치우친 현실을 비판하고 노랫말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시각을 갖도록 한다. | 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코드 위에서의 멜로디 전개 2 |
아르페지오와 스케일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이를 적절하게 믹스하여 멜로디를 만드는 법을 학습한다. | 김정욱 |
포스트 프로덕션 |
미디입력 작업과 오디오 녹음작업 후에 포스트 프로덕션의 흐름에 대해 배우고 믹싱과 마스터링의 개념을 알아본다. | 김정욱 |
||||
11 | 보컬 | 음악이론11 | Dom.7th 코드의 확장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 울림을 코드청음해 본다. | 이태선 <312호> |
시창 연습 6 | 셋잇단음표가 있는 음계를 연습하여 리듬의 변화에 순발력 있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. | 이태선 <310호> |
개인별 레슨 5 | 작곡가 또는 보컬 레슨 선생과 신곡을 1:1 레슨으로 진행한다. | 1:1 개별 레슨 진행 <레슨실> |
작사 | 노랫말 쓰기 | 창작의 동기를 분명히 하여 악곡과 결합시키는 방법을 연구한다. | 유영건 <312호> |
선 작사, 후 작사 |
선 작사 또는 후 작사 중 방법의 실효성에 대해 연구하며 현실적 방법을 찾아본다. | 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아르페지오와 스케일의 이해 |
3개 이상의 코드 톤으로 구성시킨 아르페지오를 운용하여 멜로디를 만들어 본다 | 김정욱 |
오디오 편집(1) | 페이드 인, 페이드 아웃, 크로스페이드에 대해 학습하고 기타 오디오 이벤트의 시작부에 있는 잡음을 제거 등 수정 연습을 반복 실습한다. | 김정욱 |
||||
12 | 보컬 | 음악이론12 | 증4도 대리코드(Sub.Dom7th)에 대해 알아보고 그 울림을 코드청음해 본다 | 이태선 <312호> |
시창 연습7 | 반음계 스케일과 임시표가 있는 악보를 시창해 본다. |
이태선 <310호> |
개인별 레슨 6 | 작곡가 또는 보컬 레슨 선생과 신곡을 1:1 레슨으로 진행한다. | 1:1 개별 레슨 진행 <레슨실> |
작사 | 노랫말의 형식 | 음악의 형식과 노랫말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한다. | 유영건 <312호> |
노랫말의 구성과 길이 |
한국어 노랫말을 중심으로 노래로서의 기능과, 미적 감각을 획득하는 예술로서의 전형에 대해 연구해본다. | 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코드 위에서의 멜로디 전개 3 |
새롭게 창안한 아이디어와 개발된 툴들을 이용하여 완전한 송 섹션으로 발전시키는 학습을 한다. | 김정욱 |
오디오 편집(2) | Audio Track Editor에서 음정을 조정하여 원하는 사운드를 만들어가는 실습을 반복한다. | 김정욱 |
||||
13 | 보컬 | 음악이론13 | Diminished Chord 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상행과 하행 코드 진행의 울림을 코드청음해 본다. | 이태선 <312호> |
개인별 녹음 1 | 강의 시간 포함 개인별로 녹음실에서 노래 녹음을 진행한다. 다른 인원 녹음 시 녹음실에서 녹음 진행을 참관한다. | 이태선 <220-1호 녹음실> |
개인별 녹음 2 | 강의 시간 포함 개인별로 녹음실에서 노래 녹음을 진행한다. 다른 인원 녹음 시 녹음실에서 녹음 진행을 참관한다. | 이태선 <220-1호 녹음실> |
작사 | 노랫말과 수사법 |
노랫말에 사용된 수사법의 용례를 통해 단순한 의미의 전달을 넘어 작가의 의도로 노랫말이 확장되어 구체화되는 것을 공부한다. | 유영건 <312호> |
수사법의 효과 | 적절한 수사 기법의 유용성을 수업하는 한편 기법을 익혀 표현의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향후 실용음악 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. | 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코드 위에서의 멜로디 전개를 위한 기법 연구 | 리드믹 모티브가 반복되는 수만큼의 강조된 어휘를 만들어 멜로디에 적용해 본다. | 김정욱 |
오디오 편집(3) | 파일 에디터 창에서 오디오 편집에 대해 배우고 실습한다. 노이즈를효과적으로제거하는 방법에대해학습하고실습한다. | 김정욱 |
||||
14 | 보컬 | 음악이론14 | Minor Scale의 기본 세가지 종류와 그 음계의 차이점에 대해 공부를 하고 울림의 차이를 청음해본다. | 이태선 <312호> |
개인별 녹음 3 | 강의 시간 포함 개인별로 녹음실에서 노래 녹음을 진행한다. 다른 인원 녹음 시 녹음실에서 녹음 진행을 참관한다. | 이태선 <220-1호 녹음실> |
개인별 녹음 4 | 강의 시간 포함 개인별로 녹음실에서 노래 녹음을 진행한다. | 이태선 <220-1호 녹음실> |
작사 | 악곡과 노랫말의 만남 |
필요한 이론과 실제 상황을 작품의 예를 통해 분석하고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여 의미가 왜곡되는 현상을 방지하게하며 노랫말과 악곡이 유기적인 결합체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 본다. | 유영건 <312호> |
악곡과의 소통 | 작사자에게 필요한 음악적 지식과 작곡가에게 필요한 노랫말을 볼 수 있는 식견 등에 대해 알아보고 소통을 통해 이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좋은 결합을 이루어 노래라는 유형의 예술로 승화되도록 한다. | 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2코드 진행 안에서의 멜로디 만들기 | 일반적인 멜로디 작법인 코드 체인지를 중심으로 멜로디를 쓰는 법을 학습한다. | 김정욱 |
믹싱기초(1) | 다이내믹 계열 이펙트인 Compressor, 공간 계열 이펙트인 Reverb와 같은 중요 플러그인 이펙트의 사용법을 알아보고 주어진 오디오 트랙에 적용해본다. | 김정욱 |
||||
15 | 보컬 | 음악이론15 | Diatonic minor scale Chord에 대하여 공부하고 그 의 울림의 차이를 청음해 본다. | 이태선 <312호> |
개인별 녹음 5 | 강의 시간 포함 개인별로 녹음실에서 노래 녹음을 진행한다. 다른 인원 녹음 시 녹음실에서 녹음 진행을 참관한다. | 이태선 <220-1호 녹음실> |
개인별 녹음 6 | 강의 시간 포함 개인별로 녹음실에서 노래 녹음을 진행한다. | 이태선 <220-1호 녹음실> |
작사 | 이미지 형상화 |
내용의 미적감각을 구체화하여 사실감있게 감상자에게 전이할 수 있도록 한다. | 유영건 <312호> |
구체성에서 일상성으로의 확대 | 상황의 구체적 표현과 묘사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연구 토론한다. | 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코드 체인지 상의 멜로디 쓰기 | <코드 체인지 상의 멜로디>라는 새로운 멜로디 타입, 즉 스케일이나 모드를 사용한 멜로디 타입을 공부한다. | 김정욱 |
믹싱기초(2) | 믹서의 구성과 각 채널 스트립의 파라미터에 대해 살펴본다. 곡의 밸런스를 조정하여 모든 트랙이 0dB을 넘지 않게 조정하고 그룹 채널을 생성하여 각 악기별 레벨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. 또한 좌우의 정위를 설정하여 사운드에 스테레오 공간감을 부여한다. | 김정욱 |
||||
16 | 보컬 | 음악이론16 | Modal Interchange Chord의 개념과 사용법 및 느낌에 대하여 공부한다. | 이태선 <312호> |
개인별 콘텐츠 확인 및 믹싱 의뢰 1 | 녹음한 콘텐츠를 개인별로 확인하고 완성도를 검토한 후 믹싱 의뢰를 한다. | 이태선 <220-1호 녹음실> |
개인별 콘텐츠 확인 및 믹싱 의뢰 2 | 녹음한 콘텐츠를 개인별로 확인하고 완성도를 검토한 후 믹싱 의뢰를 한다. | 이태선 <220-1호 녹음실> |
작사 | 악곡에 맞춰 가사쓰기1 | 악곡을 받아 본인의 감성과 주제에 맞게 가사를 쓰고 운율에 맞춰 정리해본다. | 유영건 <312호> |
악곡에 맞춰 가사쓰기2 | 내용의 미적감각과 동시에 곡과의 매치를 염두에 두면서 최종 수정을 해본다. | 유영건 <312호> |
||||
작곡, 편곡(미디) |
베이스 라인에 대응하여 보컬 멜로디를 작곡하는 법 | <카운터 포인트:대위법>의 툴들을 사용하여 자신만의 보컬 멜로디를 만들어 보도록 한다. | 김정욱 |
마스터링 | 마스터링 툴을 사용하여 맥시마이징, 이큐잉, 패닝 등의 최종 작업을 학습하고 콘텐츠의 최종본을 만들어본다. | 김정욱 |